2025년 폭염 더위 심각, 온열질환 2438명 발생 - 새로운 휴식 의무제와 예방법
🔥 2025년 폭염 더위 심각, 온열질환 2438명 발생 - 새로운 휴식 의무제와 예방법
2,438명
2025년 7월까지 온열질환 발생자 수
(전년 동기 대비 약 15% 증가)
올해 여름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자가 급증하면서, 정부가 새로운 대응책을 내놓았습니다. 특히 직장에서의 폭염 대응을 위해 33도 이상 시 의무 휴식제가 도입되어 화제가 되고 있어요.
🚨 7월 17일부터 시행된 폭염작업 휴식 의무제
💡 핵심 내용
- 기온 33도 이상 또는 체감온도 35도 이상일 때 적용
- 연속 작업시간을 90분 이내로 제한
- 작업 후 최소 15분 이상 휴식 의무화
- 실내 작업장도 습구흑구온도 28도 이상 시 동일 적용
📊 온열질환 발생 현황과 심각성
질병관리청 발표에 따르면, 2025년 7월 말까지 온열질환으로 응급실을 찾은 환자가 2,438명에 달했습니다. 이는 전년 동기 대비 약 15% 증가한 수치로, 올해 폭염의 심각성을 보여주고 있어요.
⚠️ 특히 위험한 그룹
- 65세 이상 고령자 (전체 환자의 35%)
- 야외 건설·농업 종사자
- 만성질환자 (당뇨병, 고혈압 등)
- 어린이 및 임산부
🏢 직장인을 위한 폭염 대응 실용 가이드
야외 작업 시 필수 수칙
- 오전 10시~오후 5시 최대한 야외 작업 피하기
- 시간당 250ml 이상 수분 섭취 (카페인 음료 제외)
- 밝은 색 헐렁한 옷 착용, 모자 필수
- 그늘진 곳에서 휴식, 선풍기나 에어컨 활용
실내 사무직 대응법
- 에어컨 온도를 26~28도로 설정
- 1시간마다 시원한 물 한 컵씩 마시기
- 점심시간 외출 시 양산이나 모자 사용
- 냉방병 예방위해 가디건 준비
💧 올바른 수분 섭취법
갈증을 느끼기 전에 미리 마시는 것이 중요해요. 갈증은 이미 탈수가 시작된 신호거든요. 특히 술이나 카페인 음료는 오히려 탈수를 유발할 수 있으니 피해주세요.
🆘 응급상황 시 대처법과 119 신고 요령
온열질환 증상 체크리스트
- 경증: 어지러움, 두통, 근육 경련
- 중등도: 오심, 구토, 피부 창백
- 중증: 의식 잃음, 체온 40도 이상, 발작
응급처치 단계별 가이드
- 즉시 시원한 곳으로 이동 (그늘, 에어컨 있는 실내)
- 옷을 헐렁하게 하고 몸을 식히기 (젖은 수건, 선풍기 활용)
- 의식이 있으면 시원한 물 조금씩 마시게 하기
- 의식이 없거나 체온이 매우 높으면 즉시 119 신고
📞 119 신고 시 꼭 말해야 할 것들
- "온열질환 의심 환자입니다"
- 환자의 의식 상태와 체온
- 정확한 위치와 접근 방법
- 현재까지 취한 응급처치 내용
🏥 무더위쉼터와 지원 시설 활용법
전국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무더위쉼터를 적극 활용하세요. 주민센터, 도서관, 지하철역, 대형마트 등에서 무료로 시원한 휴식 공간을 제공하고 있어요.
- 무더위쉼터 찾기: 안전신문고 앱 또는 지자체 홈페이지
- 운영시간: 대부분 오전 9시~오후 6시
- 제공 서비스: 에어컨, 식수, 간단한 의약품, 휴식 공간
🎯 폭염 대응 핵심 포인트
가장 중요한 것은 예방입니다. 무리하지 말고, 몸의 신호를 잘 들어보세요. 조금이라도 이상하다 싶으면 즉시 시원한 곳에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에요.
올해 폭염은 예년보다 더 길고 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 새로 도입된 휴식 의무제를 잘 활용하고, 개인 차원에서도 충분한 대비를 통해 건강한 여름을 보내세요!
ⓒ 로그스팟 - 일상에 필요한 정보를 쉽게 전달하는 곳
댓글
댓글 쓰기